EVENT
    레저스포츠
    • 본 란은 현대인의 정신 및 신체건강의 증진을 위해 직장인들이 가장 선호하는 프로그램 중의 하나인 레저스포츠에 대한 내용을 요약 정리하였습니다.

    탐험레저스포츠

    산악자전거
  • Mountain Bike라는 이름 그대로 산에서 타는 자전거를 말한다. 자전거를 타고 가파른 산악길을 오르내리고 오솔길, 자갈길, 덤불숲 등을 달리는 스포츠이다. 혼탁한 도시 환경을 등지고 험난한 자연환경을 자전거로 헤쳐 나가는 산악 사이클링은 모험심과 도전의 스포츠이다. 어렵게 도달한 정상으로부터 하산하는 쾌감이 색다른 묘미이며 전신운동으로 심폐기능에 도움을 준다.

    MTB를 즐길 수 있는 종류는 여러 가지가 있다.

    가장 부담 없이 즐길 수 있는 것이 ‘MTB등산’으로 집 근처의 가까운 산을 MTB를 타고 오르내리는 것과 ‘MTB트레킹’이 있는데 가족 단위로 자연을 만끽하는 동시에 어느 정도의 모험도 맛볼 수 있다. 소요시간도 2시간 정도로 길지 않고 권할만하다.

    국토의 70%가 산악지형인 우리나라는 MTB를 즐기기에 최적의 코스와 천혜의 조건을 갖추고 있다. MTB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 자연 속으로 빠져들어 신선한 공기와 함께
    삼림욕의 효과를 아울러 즐길 수 있다.

    험한 길을 헤쳐 나가는 모험심과 내려올 때의
    스트레스 해소 및 쾌감을 만끽할 수 있다.

    온몸운동으로 특히 심폐기능 강화 및
    하체 단련의 효과가 큰 스포츠이다.

    암벽타기
  • 암벽타기는 암벽지형을 모든 등반기술을 사용하여 안전하게 올라가는 일종의 모험스포츠를 말한다. 암벽타기는 등산의 일부로 등산과 더불어 발전하였다. 예전에는 전문 산악인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던 암벽 타기는 세계적 추세에 따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스포츠가 되었다.

    암벽타기의 묘미는 인간의 자연에 대한 끊임없는 도전으로서 맨몸으로 자신의 모든 감각을 동원하여 자연에 접근하는 운동이므로 최고의 스릴을 맛볼 수 있다는 점이다.

    또한, 모험심과 적극성을 기르는 데도 좋은 레저스포츠이다. 특히, 거친 바위를 오르는 것이기 때문에 강인한 정신과 인내심을 기를 수 잇으며, 팀워크가 강조되는 스포츠이므로 공동체 의식, 협동심 등을 기를 수 있다. 또한 정상에 섰을 때의 이루 말할 수 없는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암벽타기는 루트에 따라 E(쉽다), M(적당하다), VS(매우 곤란하다), VD(매우 어렵다), HVS(매우 많이 곤란하다), ES(극도로 어렵다) 등으로 나뉜다. E등급에서 VD등급까지는 자유등반에 속하며, VS, HVS 등급은 인공등반으로 올라가야만 올라갈 수 있는 곳이다.

    위험이 클수록 스릴은 더해지는 것이므로 꾸준히 실력을 쌓으면서 한 단계씩 도전해 본다면 어느 레저스포츠보다 큰 성취감을 느낄 수 있다.
  • 빙벽타기
  • 끝없는 모험심과 도전을 추구하는 등산가들에게는 보다 이색적인 모험인 빙벽타기야말로 한 단계 기술과 충족감을 안겨 줄 수 있는 새로운 레저스포츠로 선택되었다.

    아직까지는 암벽타기의 동호인들의 수에 비하면 부족한 숫자이지만 빙벽타기가 암벽타기보다 한 단계 높은 기술을 요구하고 있어 끝없는 모험정신을 선호하는 현대인들에게 계속 도전적인 스포츠의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인다.

    빙벽타기란 얼음으로 뒤덮인 계곡이나 겨울폭포를 등산장비를 이용하여 오르는 동계 레저스포츠이다. 암벽타기가 등반에서 출발하여 독립적인 스포츠 분야가 되었듯이, 빙벽타기도 처음엔 겨울철 등반의 일부였던 것이 이제는 하나의 독립된 스포츠 분야가 되었다.

    빙벽등반은 위험성이 높지만 오히려 위험을 매력으로 느끼는 현대인들에게 스릴과 성취감을 주고 있다. 빙벽타기는 이렇게 위험성이 높이 관계로 빙벽타기의 기술과 장비의 올바른 사용법 등 기초기술을 완전히 익힌 뒤 즐기는 것이 안전하다.

    또한 피켈이나 아이젠, 빙벽화, 헬멧, 장갑, 밧줄, 안전띠, 의복 등 등산장비를 완벽하게 준비하는 것이 안전하다. 빙벽등반은 12월부터 3월 초까지가 적기이나, 특히 1~2월은 얼음이 단단하고 두꺼워 더욱 스릴을 만끽할 수 있기 때문에 좋다.

    빙벽등반도 암벽등반과 같이 등산학교에 교육을 위한 프로그램이 준비되어 있으며, 반드시 자신의 능력에 맞는 곳을 선택하여 즐겨야 안전하다.
  • 울시 강남구 봉은사로 420 (구.삼성동 113-1) 학산빌딩 507호
    TEL : (02)733-3332 (대표), (02)567-3214
    FAX : (02)567-3215
    E-mail : canplay@naver.com